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클래식리텐션
- GIT
- range retention
- 데이터리안
- RTO
- RPO
- 파이프(|)
- DAU
- passphrase
- ssh-keygen
- 롤링리텐션
- 정처기필기
- n2t
- 다중 암호화 키
- openssh
- 하이퍼바이저
- classic retention
- MAU
- github
- N2TWinform
- Wau
- 티스토리
- dpkg
- 범위리텐션
- pem
- rolling retention
- 패키지 관리자
- 리텐션
- stickiness
- 노션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5)
TobeSteady

*데이터리안에서 발행한 문서를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DAU, WAU, MAU ...? 👉 GA에서 정의한는 MAU, WAU, DAU (GA참여보고서) DAU (Daily Active User): 일간 활성 사용자 수 : DAU 138명 (현재) 1월 28일 접속자는 138명 지난 일주일간 방문자 수가 가장 적었던 1월 22일 DAU는 128명이고 방문자 수가 가장 많았던 1월 27일은 239명 👉 y축의 스케일이 큰 MAU와 WAU를 같이 표시 주의해야 됨, 자칫 DAU의 변화를 과소평가할 수 있음. WAU (Weekly Active User): 주간 활성 사용자 수 : WAU 1100명 지난 7일간 접속자는 약 1100명 (= 대략 7일 동안 DAU의 합산 = DAU 138 * 7) 👉 한 ..

*데이터리안에서 발행한 문서를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1. Classic Retention AARRR - 유저의 서비스 이용 사이클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 - 사용자 획득 > 사용자 활성화(신규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 > 사용자 유지(지속적으로 사용) > 구매 >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 > 새로운 사용자 획득 - Aquisition > Activation > Retention > Revenue > Referral https://dwarves.foundation/playbook/aarrr-framework-zmjhde6izw/ 리텐션(Retention)이 중요한 이유 - AARRR의 5단계에서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하는 단계로 알려져 있음. - 만약 광고를 늘려 Acquisition, Act..
출처 : https://derekgrey.tistory.com/8 출처의 내용을 계속 확인하고자 보다 짧게 편집할 뿐인 내용. DA가 되는 나침반 "당신은 주체적으로 문제를 정의하는 사람인가요? DA로서 데이터 속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액션으로 KPI를 개선한 경험이 있나요?" 회사에서 지원자에게 기대한 역할 주체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그리고 비즈니스 성과를 만드는 사람 취업, 그리고 훌륭한 DA/DS가 되기 위해서 소프트/하드 스킬 모두 중요합니다. 하지만, 취업 이전에 본인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어떻게 회사 혹은 프로젝트에 기여를 하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관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01. 문제해결 능력 주체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 속 인..

뭔가 헷갈리는 개념인 피벗. 위키피디아에서 확인하면 "선형대수학에서 비벗(pivot) 또는 피벗 성분(pivot entry,pivot element)는 특정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알고리즘에 의해 먼저 선택된 행렬의 성분(항,원소)이다"라고 찾아지는데 좀 더 찾아보자 (( 수학을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 피벗 개념이 이해가 안되서 찾아보면서 정리한 것이므로 100%로 믿고 보지는 말아주세요 ;; 혹시 "이 친구 이상하게 이해하고 있군"이라고 생각되시면 댓글 환영입니다 ))) 위의 개념에서 임의의 알고리즘이란, 가우스 소거법, 단순 알고리즘 등이라고 하는데 수학적으로 개념이라서 무섭지만 조금만 더 찾아보자. ((20대 후반이되면, 뇌가 새로운 지식을 바로 이해 못 한다고 한다...그냥 많이 보는 법 밖에..
이메일 인증 방법 1. DMARC 2. DKIM 3. SPF - 해당 인증 방법은 이메일이 발신자라고 자칭하는 도메인(URL)에서 발송되었는지 확인하여 이메일 발신자를 인증함. - 해당 방법들이 올바르게 설정하지 않은 도메인에서는 이메일이 스팸으로 격리되거나 수신자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음. - 또한, 스팸 발송자가 자신을 사칭할 위험이 있음. - DKIM과 SPF는 합법성을 인증하는데 도움 - DMARC는 실패한 이메일을 "스팸"으로 표시하거나 이메일을 전달하거나 아예 삭제하는 등 DKIM 또는 SPF가 실패할 때 메일 서버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을 알려줌. -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반드시 자동으로 해당 인증 방법이 수행되지는 않음 - 이메일을 보내지 않는 도메인이라도 최소한 DMARC 레코드가 있어야..

출처 https://mabunews.stibee.com/p/218/ https://kkockko.substack.com/p/27b "마약청적국"이라는 허상 - 마약류 범죄계수 : 인구 10만명 당 마약류 범죄로 단속되는 인원 - 해당 수치가 20을 넘게 되면 마약이 사회로 급속하게 퍼질 위협이 있다고 학계에서는 보고 있음. - (한국) 2000년부터 2023년 8월까지 24년동안 마약류 범죄계수 계산시, 24년 중 15년은 해당 수치가 20을 넘김. - 이미 2000년부터 한국은 마약청적국이 아니었음 마약류와 마약 - 마약류 : 마약 +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 마약류는 우리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해서 각성효과를 유발하는 물질들 중에서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몸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약물을 의미함. - 향..

출처 : https://mabunews.stibee.com/p/219/ 생성형 AI - 이전 AI기술은 기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하고 분류하는 정도 - 생성형 AI는 이용자가 제시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데이터를 찾아 학습함 - 가장 대표적인 생성형 AI는 ChatGPT로 대표되는 LLM(Large Language Model) - LLM : 대규모의 언어 데이터를 학습해 결과물을 만드는 모델 - 메타에선 LLaMa라는 모델을, 구글에선 Bard라는 모델을 선보임 - 오픈AI(chatGPT)도 새로운 버전들을 공개, 23년 11월 6일 책 300쪽 분량도 소화하는 최신 모델 GPT-4터보를 공개함 언어 모델 외의 생성형 모델 - 텍스트를 이미지로 바꿔주는 미드저니 -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

웹 브라우저(Web browser) : HTML문서와 그림, 멀티미디어 파일등 월드 와이드 웹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의 컨텐츠를 검색 및 열람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총칭.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거미줄처럼 얼기설기 엮인 공간을 의미하는 용어. : HTTP 프로토콜을기반으로 HTML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라는 특정한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 : "WWW", "W3" 또는 "웹(Web)"이라고 함. : "인터넷"의 동의어로 오해받지만,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로 구현된 통신망이고, "월드 와이드 웹"은 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대량의 이미지와 문서를 전송하는 프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