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lassic retention
- N2TWinform
- GIT
- 하이퍼바이저
- 정처기필기
- passphrase
- MAU
- range retention
- 패키지 관리자
- rolling retention
- 리텐션
- 데이터리안
- RTO
- 다중 암호화 키
- Wau
- 클래식리텐션
- 범위리텐션
- 노션
- ssh-keygen
- dpkg
- pem
- RPO
- 파이프(|)
- stickiness
- n2t
- DAU
- openssh
- 롤링리텐션
- 티스토리
- github
- Today
- Total
목록OS (6)
TobeSteady
사전 세팅데이터베이스.설치 및 실행 사전 세팅 💡중요한 점은 네트워크 설정, 가상머신 네트워크세팅과 운영체제 네트워크 세팅 유사하게 맞춰야됨.Nat-Network (가상머신에 네트워크 적용)네트워크 이름 : NatNetwork네트워크 CIDR : 10.0.2.0/24네트워크 옵션 : DHCP 지원 해제= enp0s3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 설정)Address : 10.0.2.10Netmask : 255.255.255.0Gateway : 10.0.2.1DNS 내용 추가 : 8.8.8.8 Host-only(가상머신에 네트워크 적용)IPv4 주소 : 192.168.56.1IPv4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우측 상단에 DHCP 서버 = enp0s8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 설정)Address : ..
패스워드 없이 ssh 접근하기. 1. 특별한 키 쌍을 생성한 다음, 로그인하려는 원격 호스트로 공개 키를 복사화는 방법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ssh-keygen`프로그램으로 공개 키와 개인 키 쌍을 생성함. RSA 암호 알고리즘에 기반을 둔 키 쌍 생성됨. 공개 키는 생성하고 나면 호스트의 .sshauthorized_keys 파일로 복사 가능함. 공개 키가 있어야 클라이언트에서 개인 키로 서명한 암호 메시지가 진짜인지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openssh가 검증할 수 있기 때문. 메시지가 검증되면 ssh 세션이 시작됨. ubuntu@ubuntu:~$ ssh-keygen ubuntu@ubuntu:~$ ls -l .ssh total 16 -rw-rw-r-- 1 ubuntu ubuntu 567 Nov 13 14..
개요 과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텔넷(telnet)이 존재했음. 텔넷 프로토콜 : 빠르고 신뢰성있으며 규모가 작고 단순한 네트워크에서 용이했음. 텔넷 세션이 데이터 패킷을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음. SSH는 1990년대에 유닉스 계열 OS에서 원격 로그인할 때 전송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암호화하려고 만들어짐. 이 프로토콜을 구현한 OpenSSH OpenSSH설치 # 설치 apt install openssh-server # 실행 확인 systemctl status ssh # 시스템 부팅시 자동 실행(활성화-enable/ 비활성화-disable) systemctl enable ssh openssh-client 로컬 PC(클라이언트) openssh-client패키지로 ..
2.4.1 요약 버추얼박스 같은 하이퍼바이저들은 가상 OS가 하드웨어 리소스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만, 경량 컨테이너들은 호스트의 소프트웨어 커널을 공유함. APT나 RPM(Yum)같은 리눅스 패키지 관리자는 원격 저장소의 상태를 미러링한 인덱스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온라인 저장소에서 소프트웨어를 가져와 설치하고 관리함. 2.4.2 핵심용어 가상화(virtualization) : 여러 프로세스 간에 연산, 저장공간, 네트워킹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공유함으로써 마치 물리적으로 컴퓨터 환경처럼 각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함.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 시스템 리소스를 게스트 계층에 제공하고자 호스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완전한 컴퓨터 구조를 갖춘 게스트 V..
1.3.1 맨 페이지 리눅스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대부분 "맨 페이지" 파일도 설치됨. 알고 있는 명령어의 쓰임새를 알고 싶을 때 man 뒤에 알고 싶은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명령의 맨 페이지를 보여줌. # man 명령어 사용에 관련된 메뉴얼 문서를 보여줌 man man # sudo 명령어 사용에 관련된 메뉴얼 문서를 보여줌. man sudo 1.3.2 info 명령 이름을 모를 때 사용함. man 명령어에 비해 제공되는 정보량 적음. # 설치 sudo apt install info # 예시 info pwd 1.3.3 인터넷 시스템 로그에서 오류 정보 가져오기 journalctl : 우분투 14.04 이후에 나온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 가능. 모든 시스템 로그에 접근. 굉장히 많은 로그 데이터 ..
리눅스는 모든 작업이 "일반 텍스트 파일"로 이루어짐. 파일 시스템 : 물리적 디스크의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와 논리적 개념 단위인 파일을 연결하는 일종의 데이터 테이블이나 인덱스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읽으려면 찾으려는 리소스를 일관되게 가리킬 수 있는 일종의 인덱스가 필요함. 파일시스템은 이 인덱스를 이용해 파티션이라는 단일 디스크 분할 영역안에서 구성된 디렉터리와 파일들을 제공함. 리눅스에서 상용되는 파일 시스템 : ext4 FAT32, NTFS 등 다른 플렛폼의 파일 시스템 사용 가능. 디렉터리를 구성하는 방법 : 유닉스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FHS,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용어 설명 / 파일 시스템 최상위 디렉터리 /bin, /sbin 리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