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정처기필기
- dpkg
- 범위리텐션
- github
- DAU
- openssh
- 노션
- 패키지 관리자
- 리텐션
- classic retention
- MAU
- range retention
- 롤링리텐션
- RPO
- 파이프(|)
- stickiness
- N2TWinform
- n2t
- 클래식리텐션
- GIT
- rolling retention
- 티스토리
- 데이터리안
- pem
- passphrase
- Wau
- ssh-keygen
- 하이퍼바이저
- RTO
- 다중 암호화 키
Archives
- Today
- Total
TobeSteady
[Web] WAS와 Servlet Container 본문
WAS : Web Application Serve
- Web Server + Web Container(Sevlet Container)
- 정적 컨텐츠 제공(Web Server)하면서 웹 컨테이너(Web Container)를 이용해 내부 로직을 거쳐 동적 페이지을 보여줌.
-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환경을 만들어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 HTTP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 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서버 콘텐츠를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웹 서버와 구별되며, 주로 데이터 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됨.
- 대부분 자바 기반이나 .NET나 Citrix 기반의 비(非) 자바 계열도 존재함.
- 기능
- 프로그램 실행 환경과 데이터베이스 접속 기능을 제공함.
-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관리함.
- 업무를 처리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함.
- 역사
- 90년대 초반까지는 업무 프로세스를 변경하여 화면 프로그램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주 사용자가 인트라넷이었기에 큰 어려움이 없었음.
- 90년대 후반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 전자상거래의 요구가 발생함.
- "불특정 다수의 요구 증가와 서버의 고성능화(UNIX서버 등의 저가의 고성능 서버 등장), 초고속 네트워크 등장, 자바 등의 프로그램 언어의 처리능력 향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위치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환됨.
- 웹 브라우저* : (인터넷 브라우저, 웹 탐색기) 웹 서버에서 이동하며 쌍방향으로 통신하고 HTML 문서나 파일을 출력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익스플로러/MS 엣지 등)
Servlet Container
- Servlet : JAVA가 사용하는 웹 구현 기술.
- Servlet Conrainer : Servlet을 관리하고 jsp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함.
- jsp파일** :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
- ASP 또는 .PHP 파일과 유사하지만 ActiveX 또는 PHP 대신 Java 코드를 포함.
- 코드는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되는 HTML을 생성하는 웹 서버에 의해 구문 분석됨.
- jsp파일** : 서버가 생성한 웹 페이지.
Reference
서블릿 컨테이너, was가 헷갈립니다. - 인프런 | 질문 & 답변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WAS,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 객체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강의 중, 서블릿 컨테이너는 톰캣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라고 하셨습니다. 더불어,
www.inflearn.com
서블릿 생성 시점과 역할 관련 질문입니다! - 인프런 | 질문 & 답변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서블릿에 관련하여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 서블릿 객체는 언제 생성되나요? 처음 스프링 부트가 띄워질 때 만들어 지는 것
www.inflearn.com
'ETC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 이전 기록물이 담긴 Notion을 Tistory로 옮기는 과정 #2 (0) | 2023.03.22 |
---|---|
[ETC] 이전 기록물이 담긴 Notion을 Tistory로 옮기는 과정 #1 (0) | 2023.03.21 |
[ETC] 32bit(비트)와 64bit(비트) (0) | 2023.03.20 |
[Package Manager] Install Anaconda (0) | 2023.03.09 |
[Package Manager] 패키지 관리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