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beSteady

[데이터분석] 리텐션 (by 데이터리안) 본문

ETC/IT Documentation

[데이터분석] 리텐션 (by 데이터리안)

NKUT 2024. 4. 11. 22:50

*데이터리안에서 발행한 문서를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1. Classic Retention

AARRR 

- 유저의 서비스 이용 사이클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

- 사용자 획득 > 사용자 활성화(신규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 > 사용자 유지(지속적으로 사용) > 구매 > 다른 사용자에게 추천 > 새로운 사용자 획득 

- Aquisition > Activation > Retention > Revenue > Referral

https://dwarves.foundation/playbook/aarrr-framework-zmjhde6izw/ 

 

 

리텐션(Retention)이 중요한 이유 

- AARRR의 5단계에서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하는 단계로 알려져 있음.

- 만약 광고를 늘려 Acquisition, Activation을 늘려도 retention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사용자는 서비스를 몇번 써보고는 매력을 느끼지 못해 이탈할 것.

따라서 새로운 사용자를 받는 것보다 선결되어야 하는 것은
기존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지 보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Retention입니다.


- 리텐션 단계에서는 사용자들이 우리 서비스를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하는지, 핵심 가치를 꾸준히 경험하고 있는지 측정.

- 측정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음(classic, rolling, range, stickiness) 

 

 

클래식 리텐션(Classic Retention)

N-Day Retention이라고도 함.

 

1) 클래식 리텐션 계산하기

 

 

2) 클래식 리텐션의 한계 

 

 

"사용자 B를 Day 2 계산에서 빼도 되는 건가요? Day 3에도 접속을 하고 있는데,
이 정도면 Day 2 시점에는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고 봐도 되는 게 아닐까요?"

 

매일매일 사용하는게 아닌, 사용 주기가 긴 서비스의 경우 클래식 리텐션으로 사용자 유지 여부를 판단했을때 실제보다 훨씬 과소하게 계산됨.

 

 

👉 클래식 리텐션은 사용자가 매일 접속해서 사용할 것을 기대되는 서비스에 활용하기 적절한 지표.

👉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앱이나, 트위터 같은 SNS 서비스 

 


# 2. Rolling Retention

클래식 리텐션의 계산을 보안해서 사용되는 롤링 리텐션(Rolling Retentnion)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남아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Unbounded Retention이라고도 부릅니다.

 

 

1) 롤링 리텐션 계산하기

 

롤링 리텐션은 기준일을 포함하여 그 이후에 한 번이라도 재방문한 유저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 롤링 리텐션은 여행 서비스, 쇼핑몰, 부동산 서비스 등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2) 롤링 리텐션의 숫자변화

 

 

👉  시점 1 : 12월 6일

사용자E의 상태는 이탈

Day5의 롤링리텐션 ; 40%

 

👉  시점 2 : 12월 7일

사용자E의 상태는 방문

Day5의 롤링리텐션 ; 60%

 

 

어제는 40%라면서 왜 오늘은 60%인가요?



# 3. Range Retention

클래식 리텐션에서는 분석을 특정 일/주/월 단위로 한정짓는 느낌이라면 범위 리텐션은 구간을 유연하게 나눈다는 점만 다름.

범위를 지정하는게 특지이기 때문에 Bracket Retention이라고 부릅니다

 

 

1) 범위 리텐션 계산하기

12월 1일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들의 방문로그


< 다양한 리텐션 계산 방법에 따른 차이_주의해야 할 점 > 

 

1️⃣남과 비교를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합니다.

2️⃣우리 서비스에 맞는 계산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3️⃣형식에 얽매이지 마세요.

4️⃣하나만 볼 필요는 없습니다.

 

👉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데이터리안 게시글(클릭)"확인하기

 


# 리텐션 차트, 리텐션 커브

 
리텐션이라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언제나 최고의 우선 순위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여러분이 웨딩홀 사업을 한다고 생각해봅시다.
고객의 재방문이랄게 있을까요? 물론 이론상 있기야 있을 수 있지만 확률이 아주 낮습니다.
이런 성격의 사업을 한다면 리텐션(Retention)보다는...

 

👉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데이터리안 게시글(클릭)"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