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TO
- passphrase
- 패키지 관리자
- 롤링리텐션
- 정처기필기
- pem
- 다중 암호화 키
- ssh-keygen
- Wau
- rolling retention
- GIT
- 파이프(|)
- github
- 리텐션
- N2TWinform
- 범위리텐션
- 티스토리
- range retention
- n2t
- RPO
- DAU
- 노션
- dpkg
- MAU
- 클래식리텐션
- openssh
- stickiness
- classic retention
- 하이퍼바이저
- 데이터리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ETC (17)
TobeSteady

패스트 캠퍼스 "aws 데이터 인프라 구축 & 엔지니어링 정주행 KIT"강의에서 WSL에 대해 새롭게 접하게 되어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해당 글을 정리함.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VM을 계속 사용했던 찰나, 처음 WSL에 대한 개념을 접하고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다. 강의를 듣는 것에는 해당 개념이 크게 중요하지 않았지만, 결국에는 여러 글들을 찾아본 김에 정리하고자 한다. WSL와 Virtual Machine 모두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리눅스 시스템이 필요할 때 로컬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Microsoft에서 공개한 WSL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리눅스 명령어나 소..
ETC/IT Documentation
2023. 1. 30. 21:47